2024.11.18 (월)

  • 맑음동두천 10.9℃
  • 구름많음강릉 16.0℃
  • 맑음서울 14.0℃
  • 맑음대전 13.2℃
  • 맑음대구 13.6℃
  • 구름많음울산 17.4℃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9.2℃
  • 맑음고창 11.3℃
  • 맑음제주 19.9℃
  • 맑음강화 12.4℃
  • 맑음보은 11.3℃
  • 구름조금금산 7.5℃
  • 맑음강진군 15.9℃
  • 구름조금경주시 14.7℃
  • 맑음거제 17.0℃
기상청 제공

[아들아, 지는 꽃의 힘을 아느냐 / 안도현]

아들아!
가을이 저렇게 소리도 없이 왔다.
마당가의 석류나무가
네 주먹만한 열매를 맺었구나.
작년에도 두 알이더니
올해에도 변함없이 딱 그대로다.
석류나무는 더 굵은 열매들을,
더 많이 주렁주렁 매달아
우리한테 보여줄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도 그만 힘이 부쳤나 보다.
나뭇가지가 턱없이 가늘어서
석류 두 알도 저렇게
간신히 매달려 있는 것처럼 보이는구나.

아들아,
석류나무 밑동에 여린 줄기들이
오종종 모여 있는 것을 본 적이 있느냐?
사람들은 그걸 보고

석류나무가 어린 새끼들을 데리고

함께 자란다고 말하지.

먹여 살려야 할 식솔이

많이 딸린 가장을 보는 것 같단다.

그 새끼들은 어미의 뿌리에서 나온 것들인데,

어미가 취해야 할 양분을 빨아먹고 자란단다.

하지만 어미 석류나무한테서
실한 열매를 얻으려는 생각으로
나는 그 어린 것들을 이따금 잘라주곤 했었다.
매정하고 아까운 일이지만 할 수가 없었지.


나는 또 지난 여름
땅으로 낭자하게 뚝뚝 떨어지던
그 많은 석류꽃들을 생각한다.


아들아,
너는 주홍빛 석류꽃을 기억하느냐?
석류꽃도 봄날의 동백꽃처럼 온몸을
송두리째 내던지며 처연하게 진단다.
한잎 한잎 나풀거리지 않고

꽃받침에서 몸을 떼는 순간,

마치 결심한 듯이

아무 주저함도 없이 낙화하는 꽃이란다.

제 빛깔이 채 바래기도 전에
지고 마는 꽃을 보면서
나는 왠지 아깝다는 생각을 하곤 했었다.

아들아,
내가 목이 댕강 떨어진 석류꽃을
몇개 주워 들고 들여다보고 있을 때였다.
네 할머니께서 물끄러미 나를 보시더니
무슨 청승이냐는 듯 한마디 던지셨지.
'꽃이 그냥 지는 줄 아나?

지는 꽃이 있어야 피는 꽃도 있는 게야.'

네 할머니는 지는 꽃 때문에

석류알이 굵어진다고 말씀하시는 거였다.
꽃 지는 것 보며 공연히 마음이
싱숭생숭해질 필요가 뭐 있겠느냐며 웃으셨지.


        아들아, 알겠느냐?

        그러니까 저 석류 두 알은

        저 혼자의 힘으로 열매가 된 게 아니라는 말이다.

        지난 여름 땅으로 떨어져간 수 백송이의 꽃들,

        그 지는 꽃들의 도움으로 가까스로 열매가 맺힌 거란다.


        아들아,

        아직 너는 어려서

        언제든 화사하게 피는 꽃이 되고 싶겠지.

        하지만 지는 꽃을 잊지 말기 바란다.

        사과 한 알을 먹을 때에도

        그 사과를 위해 떨어져간 수많은 사과꽃들이

        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기를 바란다.

        오늘 아침 네가 떠먹는 한 숟갈의 밥에도

        농민들의 땀방울과 뜨거운 햇살과

        바람소리가 스며들어 있다는 것을 알기 바란다.

        그리하여 이 가을에는

        부디 그 앞에서 겸손해지기 바란다.


        언젠가 네가 학교에 갔다가

        흠씬 두들겨 맞고 돌아온 적이 있었다.

        한쪽 눈두덩이 시퍼렇게 부어오른 것을 보고

        나는 그 때 얼마나 화가 났는지 모른다.


        그래서 나는 이렇게 말했지.

        “너도 그 자식 한대 세게 때려주지 그랬어?”

        그때 네 할머니가 손을 내저으셨지.

        “아니다, 굳이 그럴 거 없다.

        지는 게 나중에는 이기는 거란다”.


        그 때 할머니의 그 말씀을

        한참 세월이 흐른 지금에 와서야

        나도 조금 이해하게 되었단다.


        아들아,

        대부분 사람들은 싸움에서 승리한 사람들이

        세상을 이끌어 간다고 생각하지.

        하지만 그 말을 전폭적으로 믿지는 마라.

        세상에는 승리한 사람보다는

        실패한 사람이 많고,

        실패한 사람 때문에

        승리한 사람이 두드러져 보이는 법이란다.

        지는 꽃이 있어야

        열매가 맺히는 것처럼 말이다.


        그렇다고 너한테 늘 실패하는

        인간이 되라고 말하는 건 아니다.

        실패할 줄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실패 앞에서 기죽지 않을 용기도

        때로는 필요하다는 것이다.


        아들아,

        네 할머니가 누구시냐?

        계단을 오를 때면

        몇 걸음 못가 숨을 내쉬어야 하고,

        이제는 꽃으로 따진다면

        바로 지는 꽃이 아니겠느냐.

        그 지는 꽃 때문에 이 아비는 아비대로

        세상을 그럭저럭 살아가고 있고,

         또 너의 키는 하루가 다르게

        쑥쑥 커 가는 게 아니겠느냐?


          - 안도현 / "아들아,지는 꽃의 힘을 아느냐" [2003년,'올해의 문장상' - 수필부문 수상작품]



        - 사진 / Don Paulson photographer



기업물류

더보기

정책/IT

더보기

교통/관광

더보기
국가유산 울산 병영성 남문터 확인…"체계적 보존방안 마련"
국가유산(사적)인 울산경상좌도병영성 초기 남문 터가 확인됐다. 울산시 중구는 '병영성 서남구간 일원 발굴 조사' 과정에서 남문지(南門址: 남쪽 문의 터 혹은 흔적)를 발견했다고 6일 밝혔다. 울산병영성은 조선 태종 17년(1417년) 왜적 침입 견제 등 동남 해안권을 방어하기 위해 세워진 성(城)으로, 경상좌도 육군을 지휘하던 병마절도사가 머물던 곳이다. 중구는 병영성 성벽의 선형과 구조를 확인하고자 국가유산청 허가를 받아 2022년부터 재단법인 울산연구원에 의뢰해 병영성 서남구간 일원에서 발굴조사를 진행해왔다. 조사 결과, 중구 서동 519번지 일원에 병영성 초축(初築) 당시 성문 시설인 옹성과 문지도리석(문짝과 문설주를 잇는 문지도리를 꽂는 돌), 원산(여닫이 문짝이 안쪽으로 밀려들어 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턱) 등이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발굴 조사단은 이번에 확인된 성문 시설을 병영성 남문으로 보고 있다. 또 병영성 초축 당시 남문이 존재했으나 16세기 임진왜란, 정유재란 등으로 병영성이 훼손됐고 18세기경 수리 과정에서 병영성 역할 변화로 당시 남문 자리에 서장대(장군의 지휘소)가 들어서고, 남문은 현재 병영1동 행정복지센터 인근에 새로 조성

해상/항공

더보기

기본분류

더보기
트럼프, 국토안보부 장관에 놈 사우스다코타 주지사 낙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이 차기 행정부 국토안보부 장관으로 크리스티 놈(53) 사우스다코타 주지사를 낙점했다고 CNN방송과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소식통들은 놈 주지사가 남부 국경에서의 강력한 단속과 함께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불법 이민자 추방 작전 등 트럼프 당선인의 이민 공약 수행에 핵심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같이 전했다. 놈 주지사는 트럼프 당선인의 대선 후보 시절 부통령 후보로도 거론됐던 '충성파' 중 한 명이다. 지난 2007∼2011년 사우스다코타 주의회 하원의원에 이어 2011∼2019년에는 연방 하원의원을 지냈다. 2018년 사우스다코타 주지사 선거에 출마했을 때 당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를 받았고, 선거 승리로 사우스다코타주 최초의 여성 주지사가 됐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마스크 착용 의무화를 거부하며 유명세를 얻었다. 이번 대선 기간인 지난달 14일 펜실베이니아주 필라델피아 교외의 오크스에서 열린 트럼프 당선인의 타운홀 미팅(유권자와의 대화) 행사에서 사회를 본 적이 있다. 당시 행사 참석자들이 잇따라 쓰러지자 트럼프 당선인은 질의응답을 중단한 뒤 40분가량 음악을 틀게

닫기



사진으로 보는 물류역사

더보기

갤러리

더보기